top
bottom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5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1차 공급 신청 방법

by haruharus2 2025. 4. 14.
반응형

2025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1차 공급 정보

 

강남, 용산에서 10만원대 월세로 최대 10년까지 가능!

월세 부담, 교통 문제, 낡은 집 스트레스까지… 서울 청년들의 주거 고민, 이젠 해결할 방법이 있습니다!

서울시가 야심차게 준비한 청년안심주택 1차 공급이 시작됐습니다. 이번에 공급되는 단지는 서울 전역 총 14곳, 교통 편의성과 주거 품질을 모두 갖춘 역세권 입지로 구성됐습니다. 대표 단지 3곳을 중심으로, 신청 자격부터 신청 방법, 비교 정보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2025 청년안심주택 1차 공급 시작

     

    서울시는 2025년 한 해 동안 총 26개 단지, 8,050가구의 청년안심주택을 공급할 계획입니다. 이 중 공공임대는 2,584가구, 공공지원 민간임대는 5,466가구로 구성되며, 현재 소개하는 1차 공급 외에도 하반기에 2차, 3차 공급 일정이 예정되어 있어 많은 청년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특히 대다수의 사회 초년생이 3순위 조건을 충족하며, 공공임대는 국가 또는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기 때문에 전세 사기 위험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다는 평가도 받습니다. 여기에 주변 시세 대비 최대 70% 저렴한 임대료까지 더해져 실제 청년들의 주거 안정 기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2025 청년안심주택 1차 공급 대상 중 3개 단지 정보

    1. 용산 남영역 롯데캐슬 헤리티지

    • 위치: 서울시 용산구 갈월동 98-6
    • 역세권: 1호선 남영역, 4호선 숙대입구역, 6호선 삼각지역 (트리플 역세권)
    • 공급 세대: 총 269세대 중 217세대 공공지원 민간임대
    • 전용면적: 23㎡, 39㎡, 49㎡
    • 임대료 예시:
      • 23㎡ A형: 보증금 약 852만 원 / 월세 약 18.8만 원
      • 49㎡ D형: 보증금 약 3,717만 원 / 월세 약 82.1만 원
    • 청약 일정: 4월 14일 접수 시작 / 4월 16일 당첨자 발표 / 4월 22~23일 계약
    • 신청처: 엘리스 공고 바로가기

     

     

    2. 도곡 더써밋타워

    • 위치: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467-29
    • 역세권: 3호선 및 분당선 도곡역 인근
    • 공급 세대: 총 288세대 중 일부 청년안심주택으로 공급
    • 전용면적: 18㎡~37㎡
    • 특징: 빌트인 가전, 피트니스센터, 스터디룸 등 주거편의시설 확보
    • 청약 일정: 4월 17~20일 접수 / 4월 22일 발표 / 4월 23~29일 계약
    • 신청처: SH공사 청약 시스템

     

     

    3. 광운대역 다움하우스

    • 위치: 서울시 노원구 월계동 85-7
    • 역세권: 1호선 광운대역 인근
    • 공급 세대: 총 180세대 중 일부 청년안심주택
    • 전용면적: 18㎡~38㎡
    • 특징: 전 세대 빌트인 가전 제공, 스터디룸·헬스장 등 공용시설 마련
    • 청약 일정: 4월 21~23일 접수 / 5월 9일 발표 / 5월 15~17일 계약
    • 신청처: SH공사 청약 시스템

     

    📊 소득 및 자산 기준 안내

     

    청년안심주택 신청 시 다음과 같은 소득 및 자산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 소득 기준:
      - 청년 1인 가구 기준: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
      - 부부 또는 세대 구성원 포함 시: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 상이
      - 예: 1인 가구 기준 약 312만 원 이하, 2인 가구 기준 약 512만 원 이하 (2025년 기준, 변동 가능)
    • 자산 기준:
      - 청년 1인 기준 총자산 2억 5,400만 원 이하
      - 신혼부부 및 부부합산 시 총자산 3억 3,700만 원 이하
    • 자동차 기준:
      - 본인 또는 세대 구성원이 소유한 차량 가액이 3,803만 원 이하

    📌 위 기준은 공공임대 및 공공지원민간임대 유형 모두에 공통 적용됩니다.

     

     

    🧾 청약 전 필수 체크리스트

    • ✅ 무주택자 여부 확인 (1인 가구 포함)
    • ✅ 소득 및 자산 기준 충족 여부
    • ✅ 세대주 또는 단독세대주 요건 해당 여부
    • ✅ 공급 유형별 중복 청약 불가 확인
    • ✅ 청약 공고 일정 및 필요 서류 미리 준비

     

     

    👥 청년안심주택 vs 역세권청년주택 비교표

    항목 청년안심주택 역세권 청년주택
    주관기관 서울시 + SH공사 + 민간 서울시 + 민간사업자
    임대료 수준 시세의 30~85% 시세의 70~95%
    입주 자격 만 19~39세 무주택 청년 만 19~39세 청년, 신혼부부 등
    지원 혜택 보증금 무이자 대출 단지별 상이
    청약 방법 SH공사 or 민간 사이트 별도 민간 플랫폼

     

    🚀 마무리 한마디

    청년안심주택은 "역세권, 저렴한 임대료, 생활 인프라" 삼박자를 갖춘 청년 맞춤형 주거 정책입니다.
    조건만 맞는다면 서울에서의 첫 독립, 이만한 기회가 없습니다!

     

    👉 자세한 공고 확인 및 신청은 아래 공식 채널을 이용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정보

     

    공공임대, 민영분양 청약 유형별 비교 가이드

    “LH 청약이랑 민간 아파트 청약이 뭐가 다른 건가요?”“공공은 싸지만 오래 기다려야 한다고 들었는데…”  청약을 처음 시작하거나 오랜만에 다시 알아보는 분들이가장 헷갈리는 부분 중

    haruharus2.com

     

     

    청약에 꼭 필요한 무주택 조건 & 가점제 계산법 총정리

    “가점이 50점 넘으면 괜찮다던데, 그 계산은 또 어떻게 해요?”  “무주택 기준? 가점 계산법? 이젠 헷갈리지 마세요”   청약제도 중 가장 어렵고 헷갈리는 것이 바로 ‘무주택 기준’과 ‘청

    haruharus2.com

     

     

    생애최초, 신혼특공, 신생아 특공 비교

    청약 혜택 헷갈리지 않게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청약을 알아보면 자주 마주치는 단어들,‘생애최초’, ‘신혼부부 특별공급’, ‘신생아 가구 우선공급’.도대체 어디에 해당되는지, 어떤

    haruharus2.com

    반응형